목록분류 전체보기 (100)
nathan_H
어느날 우연히 유튜브에서 조던 피터슨 교수의 영상을 보게 되었고 그의 가치관과 소신있는 발언들이 매력적으로 느껴져 조던 피터슨에 대해 궁금해졌고 '12가지의 인생의 법칙'이라는 이 책을 읽기 시작하게 되었다. 법칙1.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서라. 법칙 1은 아마 바닷가재 일화로 많은 분들이 알고 있을거 같다. 바닷가재의 일화를 통해 인간의 본능과 성향에 대해 흥미롭게 설명하고 있다. 바닷가재는 서로 싸움을 할때 상대방의 집게발이 자신보다 크면 보통 싸움을 피하고 회피한다. 이러한 바닷가재에서 옥토파민 수치가 높아지고 세로토닌 수치는 낮아져 자신감을 잃고 계속된 패배와 마주치게 된다. 반면에 승리를 거둔 바닷가재는 세로토닌는 수치가 상승해 자신감을 가지고 승부에서 피하지 않고 계속해소 부딪혀 많은 승리를 가..
본내용은 순천향대학교 정영섭 교수님과 관련 블로그를 참조한 글입니다. 블로그 list -https://ratsgo.github.io/machine%20learning/2017/05/23/SVM/ - https://wikidocs.net/5719 Support Vector Machine B1, B2선중에 머가 더 두개의 labe을 잘 나눈 선이라고 생각하는가?? 아마 대부분 B1이라고 말을 할것이다. 이것이 SVM에 Motivation이자 SVM을 가장 잘 설명하는 내용이다. 즉 SVM는 데이터 클래스를 분류하는 목적으로 어떻게 하면 클래스를 잘 나누어줄수 있을까라는 생각에서 시작이 된거라고 볼수 있고 데이터 클래스를 가장 잘나누어주는 decision boundary를 구하는 과정이다. Support Ve..
FACTFULNESS는 우리가 얼마나 잘못된 지식과 정보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최신 데이터와 함께 정확히 지적하고 있고 무지보다 잘못된 지식으로 갇혀진 사고와 시각이 얼마나 위험한지 잘 설명해주고 있다. 평점 - 4.5 / 5
python 모듈 파일 수정시 콘솔창에서 확인을 할때 파일 수정후에는 콘솔창에서 리로드 해줘야 수정한 내용을 반영해 불러올 수 있다. class user: def __init__(self): self.level = 1 self.power = 15 print("생성!") >>> from test import user >>> u1 = user() 생성! 클래스 내용 수정 class user: def __init__(self): self.level = 1 self.power = 15 print("유저 생성!") >>> u2 = user() 생성! 콘솔창을 재로드 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정된 클래스를 가져오면 수정된 내용이 반영되지 않은 이전에 내용을 가져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콘솔창을 끄고 다시 접속하거나..
class Mutal: def __init__(self): self.now_state = "mutal" self.hp = 100 self.attackt_rate = 10 @property def state(self): print("now state") return self.now_state @state.setter def state(self, select, upgrade=["gardian", 'devaurer']): print("upgrade complete") self.now_state = upgrade[select] print(__name___) if __name__ == "__main__": h1 = Mutal() print(h1.state) h1.state = 1 print(h1.state) __..
from collections import * *는 collections에 있는 것 모두 가져와라 everything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f = 3 print(f) def f(x): print(x + 1) print(f + 5) python은 인터프리터 방식이기 때문에 변수 이름 및 함수 이름등이 겹칠 경우 맨 아래에 있는 것을 기준으로 실행이된다. 그래서 python에서 변수명 및 함수명 선정은 겹쳐선 안되고 정말 중요하다.
자료구조에서 과하게 엔지니어링 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그래서 객체보다는 튜플이 낫다. 그리고 여기서 객체 역활 처럼하는 튜플인 namedtuple을 알아보고자 한다. from collections import namedtuple User = namedtuple("User", "name age") # namedtuple(이름, 스페이스로 구분된 필드 이름의 문자열) user1 = User("nathan", 23) print(user1) print(user1.name) print(user1.age) user2 = user1._replace(age=24, name="dan") print(user2) # 네임드 튜플은 불변하지만 필드를 바꿔서 또 다른 네임드 튜플을 반환 할 수 있다. parts = {"..
python의 특징중 하나는 다형성을 느슨하게 구현했다. 이것은 클래스에 상관없이 같은 동작을 다른 객체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ss Char(): def __init__(self, name): self.name = name self.power = 15 self.level = 1 def says(self): return f"i am {self.name}!" def status(self): return f"power: {self.power} level: {self.level}" class CharChange(Char): def say(self): return f"i am {self.name}!" def status(self, power): self.power = power return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