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00)
nathan_H
요새 다양한 코딩, 개발 관련 교육이 늘고 많은 사람들이 개발자쪽으로 커리어를 전환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말 좋은 개발자,좋은 프로그래머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하고어떠한 자격을 갖춰야 하는가?? 이에 대한 대답을이책을 통해살펴볼까 한다. 애자일 개발자라면 애자일이라는 단어를 한번쯤 아니 자주 들어봤을 것이다.. 애자일이란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578302&cid=59088&categoryId=59096 애자일이란 정햐진 규칙, 계획에만 따르는 것이 아니라 현재 상황과, 주기에 따라유연하게 대처하는 법이다. 하지만 과연 많은 기업들, 개발자들이이러한 애자일을올바르고 제대로 적용하고 있을까? 애자일 행오버 -많은 기업들과 ..
세상은 빠르게 변화하지만변하는 세상을 만드는 것은 소수 이다.그리고 그 소수의 사람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존재하지만변하는 세상을 만드는 사람들이 가진 공통점이 무엇일까??오리지널스는 세상을 움직이는 사람들의공통점으로 "순응하지 않는다"라는말로 책을 시작한다. 목차 창조적 파괴. 독창성 독창성이란 어디서 부터 나오는것이고 시작되는 것일까독창성이라고 하면 천재, 괴짜들이 잘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하지만 독창성이라는 것은 지금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받아들이지않고더 나은 대안을 모색하겠다 라는 결심에서 부터 시작이 된다.가까운 예시로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토스를 만든비바리퍼블리카 대표인 이승건 대표는거듭되는 사업 실패에서 송금을 하는 과정에서불편함을 느꼈고 이 현상에 대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아니라 의문을..
MACHINE - PLATFORM - CROWD 목차 1부 - 마음과 기계2부 - 생산물과 플랫폼3부 - 핵심 역량과 군중 마음과 기계 인간의 판단은 기계보다 나을까?이부분은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는거 같다. 인간은 탁월한 존재이면서 오류 투성이인 존재이다.사람의 성향 개인적인 판단은 객관적인 데이터 보단 각 사람마다 살아온 경험에 통해 나온다.경험이라는 것은 좋은 데이터가 될수도 있는 반면 편향적으로 빠지기도 쉬운 데이터가 될 수 있다.그에 반해 기계는 수많은 raw 데이터를 통계적 , 인공신경말, 탐색적 등등 다양한 정형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데이터를 뽑아낸다. 즉 인간의 판단보다 기계에 판단이 편향적으로 빠질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이에 관한 한가지 예시로암 판단율을 봤을때 엄청난 경력과 경험을..
. 이 책에서는매년 수많은 인재를 배출하는 명문 대학교인 하버드는 모든 학생들을 4년 내내글쓰기를 가르치는 이유와실제 하버드 학생들의 글쓰기 방법에 대해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하버드가 글쓰기교육에 집중하는 이유 "미국 대학의 목표는 설득력 있는 사람을 만드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과목은 글쓰기입니다."이 말은 1년간 하버드에서 학부를 가르친 이용규 목사가 학교측에서 들은 첫 마디 라고 합니다.하버드를 비롯한 많은 미국 대학들은 글쓰기가 학생들의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합니다.또한아마존 창업자이자 세계 최고 부자로 등극한 제프리 베이조스 회장도"글쓰기가 사고력을 개발하는 데 전부"라고 단언하면서글쓰기의 대한 중요성을 강조 했다고 합니다.결..